- [성경본문] 로마서6:1-11 개역개정
-
1.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을 하리요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겠느냐
2. 그럴 수 없느니라 죄에 대하여 죽은 우리가 어찌 그 가운데 더 살리요
3. 무릇 그리스도 예수와 합하여 세례를 받은 우리는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은 줄을 알지 못하느냐
4.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음으로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 이는 아버지의 영광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과 같이 우리로 또한 새 생명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함이라
5. 만일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같은 모양으로 연합한 자가 되었으면 또한 그의 부활과 같은 모양으로 연합한 자도 되리라
6. 우리가 알거니와 우리의 옛 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은 죄의 몸이 죽어 다시는 우리가 죄에게 종 노릇 하지 아니하려 함이니
7. 이는 죽은 자가 죄에서 벗어나 의롭다 하심을 얻었음이라
8.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으면 또한 그와 함께 살 줄을 믿노니
9. 이는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으매 다시 죽지 아니하시고 사망이 다시 그를 주장하지 못할 줄을 앎이로라
10. 그가 죽으심은 죄에 대하여 단번에 죽으심이요 그가 살아 계심은 하나님께 대하여 살아 계심이니
11. 이와 같이 너희도 너희 자신을 죄에 대하여는 죽은 자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께 대하여는 살아 있는 자로 여길지어다
제공: 대한성서공회
본문은 성도의 성화의 근거와 그에 따른 실천적 권면입니다. 성도가 성화된 삶을 이룰 수 있는 근거는 한 마디로 ‘그리스도와 하나 됨’에 있습니다. 즉 성도는 세례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을 우리 자신의 죽음으로 받아들입니다. 성도는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기에 더 이상 죄에게 종노릇하지 않습니다.(6절)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죽음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부활에도 참여함을 말합니다(5절). 그리스도는 죄에 대하여 단번에 죽으시고, 하나님께 대하여 다시 사셨습니다(10절). 세례를 통하여 그리스도와 하나 된 성도 역시, 자신에 대하여는 죽은 자로, 하나님께 대하여는 살아 있는 자로 여기며 살아갑니다.(11절)
그러면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 됨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첫째, 더 이상 죄 가운데 거할 수 없습니다(1~3절)
하나님은 우리의 더러운 죄를 모두 용서하셨습니다. 바울은 본문에서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겠느냐?”(1절)라고 질문했습니다. 앞서 바울은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다”(롬 5:20)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이 구절에서 “그럴 수 없느니라”(2절)고 말해 죄가 은혜를 받는 수단으로 오해될 여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했습니다.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필요할 뿐입니다.
구원받은 성도는 죄에 대하여 이미 죽었으므로 죄의 영역, 죄의 지배에서 벗어났습니다. 죄는 죽은 자를 지배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성도가 죄에 대하여 죽었다 할지라도 죄를 범하지 않는 것은 아니기에 성도가 자신의 연약함을 인정해야 합니다. 이것은 “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 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는 원리와 같습니다.(고전 15:22)
둘째, 세례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합니다.(4~7절)
바울은 성도들이 죄에 대하여 죽음은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님과 합하여 세례를 받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세례는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옛사람을 죽여 새로운 삶을 살게 됨을 의미합니다.(4절) 바울은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해방하였음이라”(롬 8:1~2)고 고백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세례는 우리가 장차 그리스도의 재림과 더불어 영광스러운 부활의 몸으로 다시 살게 합니다(5절). 그리스도와 연합한 우리는 영적으로 다시 살게 됩니다. 이 사실을 신뢰한다면 우리가 다시는 죄에게 종노릇 하지 않게 됩니다(6절). 이것이 바로 ‘그리스도와 하나 됨’입니다. ‘예수의 이름’으로 받는 세례는 예수님과 하나 됨의 증거입니다.
셋째, 죄에 대해 죽고, 하나님께 대해 산 자가 됩니다.(8~11절)
과거 우리는 죄에 대하여 산 자로, 죄의 종이 되어 살았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죄에 매여 살지 않아도 됩니다. 8~9절은 그리스도와 하나 된 성도가 누리는 특권에 대한 교훈입니다. 바울은 성도가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죽었으면, 또한 그리스도처럼 부활의 삶을 살게 된다고 증언했습니다. 예수님과 함게 죽었으면 함께 삽니다. “사망이 다시 그를 주장하지 못할 줄을 앎이로다.”(9절)
사도 바울은 다시 그리스도가 죄에 대하여 단번에 죽으시고, 하나님께 대하여 사셨음을 강조했습니다. 이것은 죄의 지배가 끝났다는 말입니다(10절). 따라서 성도는 자신을 죄에 대하여는 죽은 자요,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 속에 영원히 산 자로 여겨야 합니다.(11절) 하나님의 통치 영역 안으로 들어온 성도에게 죄는 더 이상 주권을 행사할 수 없고 그 운명을 바꾸지 못합니다.
예수그리스도는 아담 이후 초래된 모든 죄의 비극을 은총으로 바꾸셨습니다, 우리는 모든 죄를 용서받고, 영원한 생명을 누리며,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은 성도는 그리스도 안에서 날마다 새로워지며 영적으로 자라갑니다. 그리고 그리스도와 하나된 성도는 성화의 삶으로 나아갑니다.
댓글0개